약술형논술 국어 “독서 영역” 감 잡고 공부하는 법(feat.가천대 기출문제)(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목동씨사이트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5-04-13 11:13본문
안녕하세요,
약술형논술&가천대논술 전문 목동씨사이트학원입니다.
간절함은 합격을 위한 열쇠입니다.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열정을 의미합니다.
특히 3.5 등급 이하로 정시나 정시 어디에도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수험생들은
간절함을 가지고 이 글에 주목해주세요.
오늘은 약술형 논술 국어에서 출제 비중이 가장 높은 독서영역을
가장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다만 이 시험을 주도적으로 도입하고 시행 중인 가천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하지만 삼육대, 을지대, 한신대, 상명대, 수원대 시험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는 글입니다.
재작년 독서 기출 문제를 통해 문제 유형과 출제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학년도 약술형 논술 국어 기출 중 가천 인문 A세트에서 독서 영역을 먼저 분석해드리겠습니다.
번거로울 수 있지만 학습방향 설정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되실거에요.
이 시험이 왜 약식이라고 불리는지, 기존의 인문 논술과 얼마나 다른지. 어떻게 대비를 해야 효율적인지
쉽게 감 잡으실 수 있습니다.
총 9문항 중 4문항이 출제되어서 독서 비중이 약 45%로 가장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인간의 욕망에 대해 분석한 라캉의 이론'
지문을 제시하면서 2번, 3번 문항을 출제하였어요.
아래 [그림1], [그림2], [그림3]을
순서대로 참고하세요.
[그림1]
이 지문은 2024학년도 EBS수능특강 독서 적용학습 인문예술 분야에 나와 있었던 것인데요. 원래 원문은 좀 긴 편인 경우에는 약술형 논술 국어 출제시 일부를 생략하고 제시문으로 활용하는데요.
이 문항도 일부 지문은 생략하고 가져왔습니다.
2번 문제
<보기>는 제시문을 바탕으로 ㉠의 생각을 정리한 것이다. <보기>의 ①, ②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제시문에서 찾아 쓰시오.
대학에서 밝힌 2번 출제의도는 제시문의 핵심 개념과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입니다.
이를 위해서 자신의 읽기 방법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읽는지 그리고 글에 드러난 정보를 바탕으로 핵심 개념과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3번 문제
<보기1>은 제시문을 읽고 조사한 자료이고, <보기2>는 제시문을 바탕으로 <보기1>을 이해한 내용이다.
<보기2>의 ①, ②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제시문에서 찾아 쓰시오.
이 문제의 출제 의도는 제시문의 내용을 다른 자료와 통합적으로 읽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거에요. 이를 위해서 동일한 화제라도 다른 관점과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각 관점과 형식을 비교하며 읽을 수 있는지, 그리고 인문학 제재의 글을 읽으며 인문학적 성찰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머지 독서 4번, 6번은 문제만 나열합니다.
4번 독서
<보기>는 제시문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보기>의 ①~③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제시문에서 찾아 쓰시오.
6번 독서
<보기>는 제시문을 바탕으로 선거 보도의 유형과 선거 방송 보도 예시를 정리한 것이다. <보기>의 ①~③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제시문에서 찾아 쓰시오.
모든 문항이 제시문이나 보기에서 정답을 찾는 방식으로 답이 딱 떨어지는 유형입니다. 인문논술과 달리 첨삭이 필요 없다는 것 쉽게 알수 있죠? 이렇게 감 잡으시는 것이 중요하죠.
다음은 대학에서 발표한 선행학습영향평가서를 바탕으로 출제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학년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문학에서 출제하는데, 독서 비중이 높습니다. 논술이라는 시험의 성격을 고려한건데요.
그래도 전체적 균형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다만 고전 시가의 비중이 낮은 편이어서 갈래별로 비중이 균등하지 않는 측면이 있어요. 하지만 논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갈래별 편중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비판적이면서 창의적인 사고를 활용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하였습니다.
고등학교 지필고사의 문제 형식을 취하여 문제를 출제한 것은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입니다. 또한, 익숙하게 풀어보았을 법한 형식으로 출제하여 준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교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교육과정 상의 교과 내용과 목표에 맞는 소재와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